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뉴스 공유

SKT는 왜 미국 스타트업 퍼블렉시티에 137억원을 투자했을까?

by Ryan Yoon 2024. 6. 26.
728x90

 


TL;DR

  1. SK텔레콤은 AI 기반 대화형 검색 서비스 업체 '퍼블렉시티'에 137억 원을 투자하고 사업 협력을 진행한다.
  2. 퍼블렉시티는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기존 검색엔진과 다르게 대화형 답변을 제공하는 AI 검색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3. SK텔레콤 고객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1년간 퍼블렉시티의 유료 구독형 서비스인 '퍼블렉시티 프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는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 중입니다.
더 많은 분들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참여 부탁드립니다.
✨ 참여하기


질문의 중요성

최근 퍼블렉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퍼블렉시티는 구글의 대항마로 여겨지는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 검색 서비스입니다. 기존 검색엔진이 키워드나 링크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퍼블렉시티는 AI를 통해 마치 사람과 대화하듯 답변을 제공합니다. 

ChatGPT나 Claude와 같은 AI 기술로도 검색이 가능하지만, 정보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가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퍼블렉시티는 답변과 함께 관련 링크와 출처를 제공해 정보의 신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AI를 의사결정의 주된 수단으로 활용하기보다는 보조적인 도구로써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퍼블렉시티 창업자의 말처럼 "나쁜 유저는 없고, 모든 유저가 만족하게 만드는 게 좋은 제품"이라는 가치관이 인상깊습니다. 또한 최근 사용자들이 텍스트 중심의 구글링 보다는 영상이나 시각자료 중심의 정보 소비 경향이 늘어남에 따라, 퍼블렉시티가 이러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다면 구글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국 검색 서비스의 성패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퍼블렉시티가 이 부분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는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 중입니다.
더 많은 분들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참여 부탁드립니다.
✨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