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DR
- 네옴 시티 프로젝트의 ‘더 라인’ 계획 공개: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 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45분짜리 다큐멘터리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와 비전을 공유했다.
- 140개 모듈로 구성된 도시: ‘더 라인’은 140개의 모듈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모듈은 800미터 길이에 8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각기 다른 건축 스튜디오에 의해 설계될 예정이다.
- 왕세자의 프로젝트에 대한 자신감 표현: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모하메드 빈 살만은 사람들의 회의적인 시선을 일축하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야심찬 프로젝트들이 성공할 수 있다고 확신을 표했다. 그는 ‘더 라인’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세계에서 가장 미래지향적인 도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더 라인'은 현실화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The LIne"이 실제로 지어지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길이는 170km, 폭은 200m로 이 것이 실제로 구현이 가능한지에 대해 사우디 아라비아 국민들 조차도 의문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비관론을 일축했고 140개의 모듈로 지어질 도시 중 5개의 모듈을 먼저 공개했습니다. 실제 위성 이미지를 보더라도 지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근처의 베이스 캠프까지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손에 쥐어지는 물품을 만들어서 판매해본 입장에서 이렇게 큰 도시를 계획하고 만들어 나가는 모습이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또한 자연 에너지만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도시이기에 혁신성까지 있다니 이걸 만드는 사람들의 부담감과 설렘이 가늠가지 않습니다. 컨셉으로만 생각했던 도시가 현실화된다는 것은 자동차의 컨셉카와 같이 완벽하게 다른 도시에 적용되지는 않지만 하나의 모델로서 글로벌한 영향을 끼칠 것 같네요.
미친 사이즈
다시 한번 생각해도 존재 여부에 대한 의심이 생길 정도로 사이즈가 정말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듈 하나에 8만 즉 네옴시티에 천만명 정도가 들어간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황무지에 서울보다 큰 도시를 만든다는게 믿어지지 않네요. 이런 도시가 650조 원을 들여서 지어지고 운영된다면, 먼 미래에 화성 이주가 현실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있습니다. 자연에너지를 이용해 아무것도 없는 환경에 하나에 자생 도시를 만드는 기술이면 우주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도 농촌(시골)을 친환경 도시라고 생각하지 말고, 지방에 네옴과 같이 최신식 친환경 도시를 건축해 지방 소멸을 좀 막아보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낙관적인 시선에서 나온 도시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하나가, 이나모리 가즈오의 말인데. "낙관적으로 구상하고, 비관적으로 계획하고, 다시 낙관적으로 실행한다" 입니다. 테슬라의 스페이스X, 테슬라, 거기다 사우디의 '더 라인'까지. 모두 처음부터 낙관적으로 구상하지 않았더라면 시도도 못해볼 사업들입니다. 그럼에도, 실행은 비관적이어야 하는게. 안전과도 직결되고. 비관적으로 바라봐야 문제점들이 보이게 되니까요. 참 대단한 사업입니다.
하나 더 드는 생각은, 위성 이미지의 중요성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성 데이터로 '더 라인'의 실제 진행 여부를 확인했듯이, 먼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이기에 참 중요한 데이터 공급처이라는 생각이 다시 한 번 드네요.
https://supercarblondie.com/the-line-architects-break-down-plans/
'The Line' architects share insider secrets in documentary
'The Line' architects and Saudi Arabia's Crown Prince Mohammed bin Salman share insider secrets about the NEOM City project for the first time.
supercarblondie.com
'비즈니스 뉴스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방의 가상 오피스 소마,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0) | 2024.03.31 |
---|---|
아이즈 100억원 투자 유치: 카카오 전 대표의 인공지능 콘텐츠 회사 창업 (0) | 2024.03.30 |
레딧의 개인정보 판매: 구글과의 800억 규모의 계약 (0) | 2024.03.29 |
코딩 교육 코딩밸리: K-콘텐츠는 코딩에서도 통할까? (1) | 2024.03.28 |
구글의 생성형 인공지능 차단: chatGPT로 만든 블로그 글 이제는? (0) | 2024.03.26 |
애플의 생성형 AI 고난기: 이미 벌어진 격차인가? (0) | 2024.03.25 |
테무의 성장세: 중국의 e커머스는 어떻게 한국으로 침투했을까? (0) | 2024.03.25 |
LGU+ 하트트래블: TV에 나오지 않고 나는솔로를 즐기는 방법 (0)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