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뉴스 공유

테무의 성장세: 중국의 e커머스는 어떻게 한국으로 침투했을까?

by Ryan Yoon 2024. 3. 25.
728x90


TL;DR

  1. 중국 e커머스 플랫폼들이 대규모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 진입, 국내 셀러들을 대거 입점시키며 국내 e커머스 업체들과 중소기업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2. 알리바바의 매출과 순이익이 국내 e커머스 업체인 쿠팡을 크게 앞서며, 알리익스프레스는 무료 배송 정책 등을 통해 국내 사용자 수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3. 중국 직구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은 가격 경쟁에서 밀려 매출 급감과 폐업이 잇따르고 있으며, 특히 의류, 신발, 잡화 제조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어떻게 성장할 수 있었을까?

얼마전 알리익스프레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공유드렸는데요. 이와 관련해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성장세가 무서울 정도로 빨라진 것 같습니다. 2월 기준 와이즈앱 조사 결과 현재 11번가를 제치고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APP 2위에 알리가 올랐습니다. (3위 11번가 4위 테무) 이 배경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5가지 정도로 요약 될 것 같습니다.

  • 배송기간 단축 (평균 5일 이내)
  • 저렴한 가격
  • 막대한 광고비용
  • 입점 수수료 무료
  • 가품, 불량 문제를 어느정도 보완해 주는 알리, 테무 유튜버 

이미 늦은 감이 있지만 국내 커머스도, 혁신이 필요한 시점 같습니다. 저렴한 시장을 내주고, 프리미엄 상품을 제공하고 보증을 정말 완벽하게 해주는 고급화 전략. 혹은 제품의 선택폭을 제한하여, 정보의 홍수속에서 큐레이팅 기능을 강화 하는전략을 구축하여, 국내 커머스에서 광고성이 아닌 실제로 성능 및 리뷰 평가가 좋은 상품만 선별하여 제한적으로 판매하는 방식도 생각은 듭니다. 결국 과거 인터넷 쇼핑몰이 오프라인 시장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어 빠르게 성장한만큼, 이제는 알리 테무의 진출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상실한 만큼 변화가 절실해 보입니다.

한국 중소기업의 유입으로 구매 품목의 확대

알리익스프레스는 공산품을 싸게 구매할 때만 사용했던 것 같은데, K셀러 유입으로 구매 품목의 범위가 더 넓어진 것 같네요. 다만, 중국계라는 느낌이 강해 고급화 전략이 어떻게 통할지는 의아합니다. 거기다 평소 알리를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대부분 복제품을 구매하거나, 정말 저렴한 값에 대충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층일 것이라. 어떻게 브랜드 이미지 변화를 할지 궁금하네요.

이미지 개선은 필요

또한 테무가 요즘 알리의 성공을 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이미지가 알리와 크게 다르지 않아 둘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전략 중 하나인 프리미엄 상품 판매는 사실 현재 이미지 개선이 크게 되어야 가능한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테무를 들어가는 사람들은 기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었던 물품을 보다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함인데 그런 타겟들이 굳이 고급 제품을 테무에서 구매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https://sedaily.com/NewsView/2D6LEITLIX

 

알리·테무 자금력에 한국 e커머스·제조 中企 말라 죽는다

산업 > 생활 뉴스: 국내 쇼핑 플랫폼 업체들이 중국 e커머스의 공습에 설 곳을 잃고 있다. 거대한 자금력을 무기로 한국 셀러들을 입점시키는 상황...

ww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