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뉴스 공유

AI 아직도 거품이 있을까? 인공지능 시대는 어디까지 왔는가.

by Ryan Yoon 2024. 2. 4.
728x90

TL;DR

  1. AI 기술주와 거품 우려: 2022년말 Open AI의 ChatGPT 소개 이후 인공지능 관련 기술주, 특히 Nvidia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AI 거품 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는 이를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의 닷컴 버블 붕괴와 비교하고 있으나, AI 기술의 실질적인 발전과 적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아직 거품 형성 단계는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2. 인텔 등 일부 기업의 실적 부진: AI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인텔 같은 일부 반도체 기업들은 최근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며 주가 조정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AI 특화 기업이 아닌 전반적인 반도체 업계의 수요 위축과 고금리 환경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3. 장기적 관점과 기술 발전의 필요성: 닷컴 버블 시기에 투자한 일부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놀라운 성장을 보인 것처럼, 현재 AI 기술주에 대한 투자도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AI 보급을 위한 전기 부족 문제 해결과 같은 기술적, 인프라적 발전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소형원자로 같은 친환경 에너지 소스 개발이 중요하다.

Source: Ryan Yoon by Dalle3


거품론은 언제까지.

AI의 거품은 LLM(Large Language Model)이 나오기 이전부터 제기된 키워드입니다. 한계점이 존재한다고 했지만 결국 지금 뚫고 나와

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죠.

에서 말하는 거품은 LLM이 불러온 ChatGPT 이후를 다룹니다. 먼저 Nvidia의 주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인공지능의 활성화에 따라 반도체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생각했으나, 전체적으로는 반도체 활용 상품의 수요가 줄어들며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에서는 IT거품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갑니다. 인터넷 인프라 구축이 생각보다 느려 닷컴버블이 일어났고 살아남은 기업들만 공룡이 되었다구요. 글에서는 닷컴버블과 같이 AI시대에는 1) AI 규제, 2) 보안, 3) 반도체 및 전기의 부족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말합니다.

저는 사실 이미 기술적으로는 한 차례 버블이 왔었고 이제 적용이 얼마나되는지에 따라 두 번째 버블을 지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규제와 보안은 큰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지만 결국 반도체 가격 등의 인프라가 얼마나 받춰주냐에 따라 비용이 하락하고 사람들이 접근가능한 가격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미 밀접하게 들어왔고 거품은 지났다.

AI의 거품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오히려 반대로 최근 삼성의 겔럭시에서 ai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선보인 만큼, 앞으로 소형 가전에도 ai 기술이 들어가 더욱 빠르게 발전할 것 같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삶에 더욱 ai 기술이 밀접하게 들어올 것이며, 그 활용도가 넓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버블을 경험한 세대는 다르다.

앞으로의 기술 관련 버블은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는 이미 닷컴버블을 경험한 세대니까요. 그보다는 더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좌우될 것같습니다. 단순 기술만의 거품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이죠. 사실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이나 이로 인한 금리 인상 등 최근들어 더 다양한 일들이 연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매크로 관점을 더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참고자료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memberNo=45786969&volumeNo=37261320

 

인공지능 (AI) 거품이 벌써 터질까?

[BY 김학주 리서치] (인텔을 비롯해) 최근 발표되는 AI관련 기술주들의 실적이 기대 이하로 나오며 관련...

m.pos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