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뉴스 공유74

유니티 대규모 구조조정 돌입, 25% 감원 TL;DR 유니티 주가 급락: 유니티는 2024년 1월부터 새로운 런타임 요금제를 도입하기로 발표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가가 5.52% 하락하여 36.82달러를 기록, 올해 고점 대비 24% 떨어졌음. 새 요금제 도입: 유니티의 새 요금제는 게임 플레이어에 의해 게임이 다운로드될 때마다 런타임 요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특히 매출과 설치 횟수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게임에 적용된다. 이는 기존 구독 요금제에 추가되는 새로운 요금제로 소규모 팀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는 요금제임. 게임 업계의 반발: 유니티의 이번 조치에 대해 많은 게임 개발자와 제작사들이 반발하고 있음. '어몽어스'의 개발사인 이너슬로스를 비롯한 여러 회사들은 이 요금제 변경이 게임 개발 스튜디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 2024. 1. 18.
GPT로 어떻게 비즈니스를 할 수 있을까? 스픽 SPEAK TL;DR 혁신 투자: 영어 회화 앱 '스피크'가 오픈AI 스타트업 펀드로부터 약 380억 원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AI 기반 학습: GPT-4를 활용하여, 스피크는 사용자가 AI와 대화하며 영어 발음을 연습할 수 있게 해, 구어 영어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맞춤형 경험: 앱은 비디오 강의와 자유 형식의 AI 대화를 제공하며, 실시간 피드백과 개인 맞춤형 학습 경로를 통해 효율적인 학습을 지원합니다. 생각 1: 스픽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스픽은 AI를 활용해 언어 교육의 시간적, 비용적 제약을 줄이며 소비자 만족을 이끌어내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전통적인 전화 영어 학습법과 달리, AI 기술을 이용하여 접근성과 비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한국인이 완벽하지 않은 영어 실력을 부끄러워하.. 2024. 1. 13.
오픈AI(OpenAI) 연매출 $1.6b 돌파에 대한 생각 TL;DR - 오픈AI(OpenAI) 연매출 $1.6b 돌파, 일부 경영진은 올해 3배 이상인 $5b 매출 달성할 것으로 예상 - 현재 논의되고 있는 OpenAI 밸류 $100b로 경영진의 예측($5b 매출)이 현실화된다면 단순 산출로 밸류 $300b 이상 달성 가능할 것 -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 49프로 지분이 있음 생각 1: ChatGPT로 인해 사무직은 없어지는가 사무직 직원들에게는 chatGPT는 없으면 안되는 툴이 되었습니다. 물론 안 써보신 분들은 '난 필요 없는데요?'라고 할 수 있지만요. 하지만 한 번쯤 적극적으로 써보신다면 개인적으로 업무 효율을 최소 3-4배는 올리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간단한 데이터분석이나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며, bing 검색이 들어오며 자료 검색도 잘 되어서.. 2024. 1. 11.
스타트업 혹한기에 흑자를 기록한 마이리얼트립 TR;DL 스타트업 혹한기에 많은 기업이 적자를 기록하거나 사업을 접고 있으나, 몇 기업들은 첫 흑자를 기록하였다. 마이리얼트립은 코로나 직격탄을 맞았던 기업 중 하나로 대다수의 IT 기업이 코로나 시기에 풀렸던 유동성과 비대면 특수를 누렸던 것에 비해 어려운 시기를 겪어왔다. 마이리얼트립은 이번 분기에 설립 이후 첫 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시작점일 뿐 앞으로는 더 큰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여행업계 그리고 마이리얼트립 마이리얼트립을 포함해 여행업계 전반에 코로나는 핵폭탄과도 같았습니다. 여행 자체를 할 수 없으니 하루아침에 수익이 0원으로 줄어들었죠. 아고다는 1,500명을 해고 했으며, 하나투어와 모두투어에 이어 ‘빅3’로 불리는 노랑풍선도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착수.. 2023. 8. 15.
그루비엑스와 D2C 사업 그루비엑스? 중국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중국 MCN 커머스 그루비엑스는 기사에 따르면 중국향 구독자 3,400만명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지난 20일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에서 프리A 투자를 받았다. 이들은 국내 클라라, 김현중, 김태훈 등 국내 셀럽과 계약을 맺고 이들의 중국 계정을 관리하는 형태로 사업을 전개하는 것으로 보인다. 각 셀럽들은 별도의 소속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계정 자체의 소유권보다는 일정 지분 정도를 갖고 컨텐츠 업로드 권한 정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해당 셀럽들을 활용해 국내 기업의 제품을 중국 고객들에게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중국 전문 크로스보더 D2C(Direct to Consumer)로, 커머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D2C란? D2C는 'Di.. 2023. 4. 30.
우버의 모빌리티 기반의 신사업, 악화되는 시장 속 해답일까 우버는 감축합니다. 최근 경기침체와 함께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비용 감축에 나섰습니다. 넷플릭스는 150명의 인원을 감축한다고 선언했으며, 5월 우버 또한 비용 감축을 통해 효율적인 기업으로 나서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금리가 인상되었으며, IT기업의 성장을 견인한 저금리&경기 활황 시대가 저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빅테크 기업들 또한 현금 흐름 창출이 중요해졌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가치에 대해 의문을 갖기 시작하고 있습니다.(벤처투자 규모도 많이 줄고있다고 하지만, 아래 그림에 따르면 크게 줄어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우버는 감축하지 않겠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6월 우버 CEO는 우버가 불황에 강하다고 평가하며, 고용 감축 필요성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분기.. 2022. 6. 10.
크림의 수수료 부과, 횡포인가? "다 때가 있다 " [1] "다 때가 있다" 플랫폼에게도 때가 있습니다. 플랫폼에게 때는 바로 독점적인 위치를 점했을 때입니다. 플랫폼은 출혈경쟁을 통해 시장에 경쟁자가 없어질 때까지 빠른 범위 확장과 무료 서비스 등으로 고객을 유치하죠. 그리고 살아남은 플랫폼은 "때"를 맞아 독점적인 위치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기업 간 수수료 및 광고를 통한 수익을 창출합니다. [2] 스니커즈 전문 리셀 플랫폼 크림에게도 드디어 "때"가 왔습니다. 지금까지 크림은 무신사에서 운영하는 솔드아웃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게 위해 무료수수료와 무료배송으로 많은 고객을 끌어모으며, 약 600억원의 손실을 냈습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가품 논란이 생겼는데, 바로 무신사에서 판매한 명품 의류가 크림에서 가품 판정을 받은 것입니다. 긴 .. 2022. 4. 19.
현대차 NFT 시작, 메타모빌리티 기업들의 본격적인 참여? 현대차가 메타콩즈와 손잡고 NFT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5일 공식 트위터 계정(@Hyundai_NFT)을 개설한 뒤 18일 오픈을 예고하는 게시물을 게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두희가 이끄는 메타콩즈와 현대자동차의 PONY가 함께한 NFT 를 공개하였습니다. 해당 NFT는 현대자동차와 파트너십을 맺은 메타콩즈, 메타토이드래곤즈, 위치 3개사에게 각 10개씩 총 30개의화이트리스트를 부여해 당첨자에게는 1이더리움으로 해당 NFT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집니다. 현대자동차가 NFT는 메타모빌리티 유니버스에서 활용될 예정이며, 해당 메타모빌리티는 지난 CES 2022에서 현대자동차가 발표한 가상현실로 혁신적인 이동경험이 가능한 세상을 말합니다. 해당 CES.. 2022. 4. 18.
토크노믹스란? 뛰면 돈이 되는 P2E 스테픈(STEPN) 토크노믹스란? 토크노믹스는 토큰(Token)과 경제학(Economics)을 합친 단어로, 토큰경제를 의미합니다. 암호화폐인 토큰이 화폐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참여자간 토큰이 사용되고 교환될 수 있는 동기가 요구됩니다. 때문에 빌더들은 토크노믹스를 치밀하게 설계하여 토큰이 순환될 수 있게 만들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토크노믹스는 보상과 소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참여자가 토큰 생태계에 기여할 때 보상이 주어지고, 토큰을 사용할 때 소각이 일어납니다. 토크노믹스는 보상과 소각이 밸런스를 잘 맞췄을 때, 가치를 잘 유지할 수 있게되며 사전에 이를 제대로 설계하지 못한 토큰은 참여자들에게 금방 외면받게 됩니다. 특히 작년부터 NFT 시장이 커져가며 디지털 그림으로 생각되었던 NFT 인식이 크게 변화되었습니다.. 2022. 4. 14.
커플 앱 비트윈과 데이터의 가치 (feat. 쏘카, 크래프톤) 데이터가 곧 돈이다. 2011년, 커플 메신저 어플로 비트윈이 출시되었습니다. 피튀기는 메신저 시장 속에서 명확한 고객층을 확보하여, 2018년 DAU 100만명을 달성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2018년 7월. 쏘카가 모빌리티 사업 확대를 이유로 비트윈 운영사 VCNC을 인수하였습니다. 쏘카가 전혀 다른 사업 영역인 비트윈을 인수한 이유는 커플들의 실제 대화 데이터를 통해서 주요 사용층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클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커플들의 경로를 파악하여 쉐어링존을 설정하면 비용도 아끼고, 수익도 극대화할 수 있겠죠. 2018년 10월, VCNC는 인수 후 약 3개월만에 돌연 타다 서비스를 런칭했습니다. 당시 쏘카가 부족했던 데이터 처리와 활용 노하우를 비트윈 사업.. 2022. 4. 13.